ACT3
제 3막
The Birth of Hyperdense Neutron Star
초고밀도 중성자별의 탄생

Navras 나브라스, 2025, oil and graphite on canvas, 193.9×521.2×3.5(cm)
Sometimes we predict our future based on negative events or failed experiences from our past. The popular saying "This life is ruined" reveals such belief in linear and fatalistic order. Yet, everyone has likely wished, at least once, to live a completely different life if given the chance. It's imagining that omnipotence of being able to easily Reset when obtaining unwanted results in a game. If we could be born again, what dreams would we have? In other words, what if we could be completely free from past experiences, negative events, and common sense?
우리는 때때로 과거에 겪었던 부정적인 사건이나 실패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미래를 점쳐보곤 한다. 유행어처럼 쓰이는 '이번 생은 망했다'는 말은 이러한 선형적이고 운명론적인 질서에 대한 믿음을 드러낸다. 동시에 누구나 한 번쯤, 가능만 하다면 완전히 다른 인생을 살아보고 싶다는 꿈을 꾼다. 게임에서 원하지 않는 결과를 얻었을 때 손쉽게 리셋(Reset)할 수 있는 그 전지전능함을 상상해보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어떤 꿈을 꾸게 될까? 다시 말해 과거의 경험이나 부정적인 사건, 상식으로부터 완전히 자유할 수 있다면?



1_Supernova I 수퍼노바 I, 2023, oil and graphite on canvas, 22×22×3.5(cm)
2_Karma I 카르마 I, 2025, oil and graphite on canvas, 100×25×3.5(cm)
In the ladder game of life, I was cast in the role of a victim. What happened in the hidden center of the ladder? Without knowing why, I lived through a predetermined scenario like a sponge absorbing all sorts of misfortunes. And finally, I held a funeral to survive. It was a psychodrama for myself, born from an amazing will to live. Flipping over the game board of the ladder game that I thought had already concluded, I returned to the starting point.
삶의 사다리타기 게임에서 나는 피해자의 배역을 맡게 되었다. 가려져 있던 사다리의 중앙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나는 영문도 모른 채 온갖 불행을 빨아들이는 스펀지처럼 정해진 시나리오를 살았다. 그리고 마침내 살아내기 위한 장례식을 치렀다. 그것은 삶에 대한 놀라운 투지에서 비롯된 자신을 위한 사이코드라마였다. 이미 결론이 났다고 생각했던 사다리타기 게임의 판을 뒤집어 나는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왔다.




1_Time Axis 시간의 축, 2024, oil and graphite on canvas, 162.2×130.3×3.5(cm)
2_The Blacksmith of Vulcan 불칸의 대장장이, 2024, oil and graphite on canvas, 162.2×130.3×3.5(cm)
3_Arche 아르케, 2024, oil and graphite on canvas, 112.1×145.5×3.5(cm)
A massive star that has exhausted all its internal energy collapses under its own strong gravity, but sometimes the resulting repulsive force leads to its rebirth as a neutron star. The hyperdense neutron star rotates at an incredible speed. This small but terrifying star, which can rotate up to 716 times per second, remarkably shares a similar history with me in that it is the birth of a dead star. Soon, I realized that I had been reborn as an ultra-dense neutron star.
내부의 에너지를 모두 소진한 거대질량의 별은 강한 중력에 의해 스스로 붕괴되지만, 이 때 발생하는 반발력으로 인해 중성자별로 다시 태어나는 운명을 맞이하기도 한다. 초고밀도의 중성자별은 엄청난 속도로 자전한다. 무려 1초에 716회 회전하기도 하는 이 작지만 무시무시한 별은 놀랍게도 죽은 별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나와 유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머지않아 나는 자신이 초고밀도의 중성자별로 다시 태어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_Cosmos 코스모스, 2024, oil and graphite on canvas, 80.3×100×3.5(cm)
Events and states are merely arranged with their respective probabilities. When we break free from given roles or universally accepted causal relationships like past-future, cause-effect, we can observe another world. The birth of a neutron star, defying all common sense, shows us that there is no predetermined destiny and presents a new way of being. I hope that my journey of practicing the possibility that anyone can become a star will protect our uniqueness from all the frustrations and anxieties we face in life.
사건과 상태는 저마다 일정한 확률을 가지고 단지 나열되어 있을 뿐이다. 주어진 역할 또는 과거-미래, 원인-결과와 같이 보편타당하다고 여겨지는 인과관계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또 다른 세계를 관측할 수 있다. 모든 상식을 벗어난 중성자별의 탄생은 우리에게 정해진 운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 그리고 새로운 존재 방식을 보여준다. 누구나 별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천하는 나의 행보가 삶에서 맞닥뜨리는 온갖 좌절과 불안으로부터 우리의 고유함을 보호해줄 수 있기를 바란다.



2_The Scenery of the Earth 지구의 풍경, 2023, oil and graphite on canvas, 53×65.1×3.5(cm)
3_Protogenoi 프로토게노이, 2023, oil and graphite on canvas, 90.9×72.7×2.7(cm)



2_Samara II 삼사라 II, 2024, oil and graphite on canvas, 90.9×72.7×3.5(cm)




2_Silver Lining 실버 라이닝, 2025, oil and graphite on canvas, 34.8×27.3×3.5(cm)
︎︎︎TOP